원당 4구역 끝자락 대상지는 옹벽으로 그 위치가 구분된다. 옹벽은, 여기까지가 변화를 품을 수 있는 한계라는 듯이 경계를 짓는다. 그러나, 우리의 관계가. 땅과 건물의 관계가, 시간에 따른 모두의 변화가 불연속적이지 않듯이. 원당 복합커뮤니티 센터를 통해 녹지 공원이 스며들어 대지와 건물이 하나가 되며, 그 안에서 우리들의 소통이 이루어지는 그 모든 것이 통합된다. 소박한 건물로 모든 소중한 것을 지킬 수 있다는 생각은 욕심이다. 그러나 그러한 소중함에 대해 한번은 다시 상기시킬 수 있는 것, 그 작은 욕심들이 모여 희망을 볼 수 있게 하는 것, 작은 욕심에 대한 마음으로 원당 복합커뮤니티 센터가 들어선다.
눈이 오면 재빨리 눈을 치우고, 결빙하면 얼음을 안전하게 제거하고, 도로가 파손되면 신속하게 보수한다. 이는 도로사업소의 일상으로서 도시에서 없어서는 안되는 필수시설이다. 그러나 작업과정에서 발생하는 먼지, 소음, 냄새 등으로 인하여 우리에게 기피시설로 인식되어 있다. 이를 극복하는 몇가지 장치의 제안으로 도로사업소가 우리에게 친근한 시설로 다가와 도시에 반드시 필요한 시설이라는 인식의 전환을 꾀한다. 지역주민에게는 푸르름을 제공하는 공원으로서, 도시의 교통소통을 원활하게 해주는 친환경적 시설로서 상생하는 관계를 가질 것이다.
세 개의 프로그램 영역이 세 개의 매스로 구성되면서 세 개의 경계구조인 세 개의 큰길마당이 외부에 형성된다. 세 개의 계단길이 각각의 시설영역을 꿰어내는 내부의 소통길을 형성한다. 남서측 경계를 따라 형성되는 교육영역은 필로티 공간과 발코니 공간으로 대형수목의 녹색 입면과 그늘숲으로 형성되는 프로그램 마당과 대응한다. 북측경계를 따라 소나무숲 오름길 공연마당과 유기적으로 대응하면서 실내외 공간의 상호관입에 의한 확장과 통합이 이루어진다. 동측 경계를 따라 배치되는 체육영역은 기존 등산로와 대응되면서 서비스 마당, 서비스 영역 인근 주차장과 연계된다. 하늘계단은 기본생태환경을 구축한 적극적 건축영역이다. 입체중정을 중심으로 세 개의 시설영역 양단의 결절 공간에 세 개의 로비 공간이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개별적이고 독립적 공간인 동시에 마주하는 영역을 소통시킨다.
공원의 연속성과 범위를 지붕으로 잇는 자연친화적 선택으로 인해 센터는 공원의 일부처럼 보이도록 유도하고, 자연의 흐름을 복원하기 위해 건축의 형상을 재구축한다. 공원화작업은 자연환경뿐만 아니라 사회적, 문화적 공동체 역할도 수행할 수 있도록 이용자들의 친화적인 공간이자 휴식을 도모하는 장이 되도록 제안한다. 본 계획안은 건축행위로 인해 기존 자연풍경이 사라지는 것이 아닌 건축을 통해 자연과 도시환경을 재구성하고자 하는 건축 아이디어로 출발했다.
3등 원당복합커뮤니티센터 건립공사 건축설계공모 + 허서구건축사사무소
원당 4구역 끝자락 대상지는 옹벽으로 그 위치가 구분된다. 옹벽은, 여기까지가 변화를 품을 수 있는 한계라는 듯이 경계를 짓는다. 그러나, 우리의 관계가. 땅과 건물의 관계가, 시간에 따른 모두의 변화가 불연속적이지 않듯이. 원당 복합커뮤니티 센터를 통해 녹지 공원이 스며들어 대지와 건물이 하나가 되며, 그 안에서 우리들의 소통이 이루어지는 그 모든 것이 통합된다. 소박한 건물로 모든 소중한 것을 지킬 수 있다는 생각은 욕심이다. 그러나 그러한 소중함에 대해 한번은 다시 상기시킬 수 있는 것, 그 작은 욕심들이 모여 희망을 볼 수 있게 하는 것, 작은 욕심에 대한 마음으로 원당 복합커뮤니티 센터가 들어선다.
2등 (가칭)이건희 기증관 건립사업 국제설계공모 + 허서구건축사사무소 + 건축사사무소 알오에이아키텍츠
이 땅 밑에서 발굴한 역사터의 자산공간으로서, 이 땅 안에서 모아진 문화자산 모임공간으로서, 이 땅 위에서 생성될 미래품을 모태공간으로서, 길을품고 지형을 품고, 요구되는 프로그램들이 창발적 공간으로 점유된다. 자리를 다듬어 길을 내어준다. 공원이 된다.
- https://tlkhmuseum.org/ko/
3등 남부도로사업소 청사 이전 사업 설계공모 + 우리동인건축사사무소
눈이 오면 재빨리 눈을 치우고, 결빙하면 얼음을 안전하게 제거하고, 도로가 파손되면 신속하게 보수한다. 이는 도로사업소의 일상으로서 도시에서 없어서는 안되는 필수시설이다. 그러나 작업과정에서 발생하는 먼지, 소음, 냄새 등으로 인하여 우리에게 기피시설로 인식되어 있다. 이를 극복하는 몇가지 장치의 제안으로 도로사업소가 우리에게 친근한 시설로 다가와 도시에 반드시 필요한 시설이라는 인식의 전환을 꾀한다. 지역주민에게는 푸르름을 제공하는 공원으로서, 도시의 교통소통을 원활하게 해주는 친환경적 시설로서 상생하는 관계를 가질 것이다.
- https://project.seoul.go.kr/view/viewDetailArch.do?search=3b68e1fb4b5a34028ecf37e75d2dbcaf
5등 당진시 청소년 수련관 건립사업 설계공모 + 허서구건축사사무소
세 개의 프로그램 영역이 세 개의 매스로 구성되면서 세 개의 경계구조인 세 개의 큰길마당이 외부에 형성된다. 세 개의 계단길이 각각의 시설영역을 꿰어내는 내부의 소통길을 형성한다. 남서측 경계를 따라 형성되는 교육영역은 필로티 공간과 발코니 공간으로 대형수목의 녹색 입면과 그늘숲으로 형성되는 프로그램 마당과 대응한다. 북측경계를 따라 소나무숲 오름길 공연마당과 유기적으로 대응하면서 실내외 공간의 상호관입에 의한 확장과 통합이 이루어진다. 동측 경계를 따라 배치되는 체육영역은 기존 등산로와 대응되면서 서비스 마당, 서비스 영역 인근 주차장과 연계된다. 하늘계단은 기본생태환경을 구축한 적극적 건축영역이다. 입체중정을 중심으로 세 개의 시설영역 양단의 결절 공간에 세 개의 로비 공간이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개별적이고 독립적 공간인 동시에 마주하는 영역을 소통시킨다.
- https://masilwide.com/ekdwls0731/
2등 파주 운정5동 행정복지센터 건립 건축 설계공모
공원의 연속성과 범위를 지붕으로 잇는 자연친화적 선택으로 인해 센터는 공원의 일부처럼 보이도록 유도하고, 자연의 흐름을 복원하기 위해 건축의 형상을 재구축한다. 공원화작업은 자연환경뿐만 아니라 사회적, 문화적 공동체 역할도 수행할 수 있도록 이용자들의 친화적인 공간이자 휴식을 도모하는 장이 되도록 제안한다. 본 계획안은 건축행위로 인해 기존 자연풍경이 사라지는 것이 아닌 건축을 통해 자연과 도시환경을 재구성하고자 하는 건축 아이디어로 출발했다.
- https://www.paju.go.kr/user/board/BD_board.view.do?seq=20240611112934439&bbsCd=1022&q_ctgCd=4063
3등 서울의료원 방사선종양학과 신설 설계용역 + 본디건축사사무소
서울의료원과 지역을 하나로 잇는 새로운 열린 마당을 조성하고 기존 시설의 최적의 활용을 통해 미래의 변화에 대응가능한 전문 방사선종양학과 치료공간을 제안한다.
- https://www.seoulmc.or.kr/pms/board/detail.do?sitecdv=S0000100&decorator=pmsweb&boardidn=86&menucdv=06010000&boardseqn=274
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에서 발주하는 리모델링 사업 제안공모에 당선되었습니다.
동해시에서 발주하는 "무릉별유천지 쇄석장 유휴공간 문화재생사업"에 샌디디자인과 공동응모하여 당선되었습니다.
한국공항공사 김포공항에서 발주하는 "김포공항 국제선터미널 4층 홀 개선 설계용역"에 건축사사무소 토우와 공동응모하여 당선되었습니다.
제이유건축사사무소 박제유 대표 소장님께서 대한민국 문화예술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23년 문화훈장 수훈자 15인에 선정되어 수훈하였습니다.
관련기사: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03614&ref=A
서울시 송파구청에서 발주하는 「송파구민회관 리모델링 설계」 제안공모에 참가하여 당선되었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발주하는 「본관 수술장 확충 및 리모델링공사(2차)」 제안공모에 본디건축사사무소와 공동으로 참가하여 당선되었습니다.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에서 발주하는 「정원소재실용화센터 건립사업」 설계공모에 우리동인건축사사무소와 공동으로 참가하여 당선되었습니다.
제주대학교에서 발주하는 "제주대학교 동물의료센터 증축 및 환경개선 설계용역"에 (주)본디건축사사무소와 함께 공동으로 응모하여 당선되었습니다.
남원시에서 발주하는 "남원 국악전용 공연장 조성사업 설계용역"에 참가하여 당선되었습니다.